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연금 실물이전: 2조 4천억 원이 움직인 이유와 향후 전망

by Insight Teller 2025. 2. 24.
728x90

 

퇴직연금 시장에서 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도입된 이후, 불과 3개월 만에 2조 4천억 원이 넘는 자금이 이동했다. 특히 증권사로의 자금 유입이 두드러지며,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높은 수익률에 대한 관심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실물이전의 개념과 이유, 업권별 이동 현황, 제도별 특징, 향후 전망 등을 5가지 소주제로 정리해본다.


1.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 계좌를 갈아타면서도 손실 없이 이동하는 방법

기존에는 퇴직연금 계좌를 변경하려면 보유한 상품을 먼저 매도(해지)한 후 다른 금융사로 옮겨야 했기 때문에 중도해지에 따른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2023년 10월 말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현재 보유한 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그대로 다른 금융사 계좌로 옮길 수 있는 서비스다. 즉, 기존 금융사에서 수익률이 낮은 상품을 운용하고 있었다면, 별다른 손실 없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증권사 등의 계좌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서비스가 도입된 후, 많은 가입자들이 퇴직연금 계좌를 변경하면서 퇴직연금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2. 2조 4천억 원의 자금 이동, 어디로 흘러갔나?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시작된 지 3개월 동안 2조 4천억 원이 넘는 자금이 이동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은행 → 은행: 7,989억 원
  • 은행 → 증권사: 6,491억 원
  • 증권사 → 증권사: 4,113억 원

이동 규모 자체로 보면 은행 간 이동이 가장 많았지만, 순유입 금액을 보면 증권사가 4,051억 원으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반면 은행은 4,611억 원이 빠져나가며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는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증권사로 이동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3. 은행에서 증권사로 이동한 이유는?

퇴직연금 수익률을 비교하면, 왜 많은 자금이 증권사로 이동했는지 알 수 있다.

2023년 말 기준 퇴직연금 수익률:

  • 은행: 4%대
  • 증권사: 7%대

퇴직연금 상품은 장기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1~2%포인트의 차이도 누적되면 상당한 금액 차이를 만든다. 게다가 증권사의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ETF(상장지수펀드) 매매가 가능하다. ETF는 개별 주식보다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투자 성향이 적극적인 가입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따라서 많은 가입자들이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은행보다는 증권사로 이동하고 있다.


4. 제도별 이동 현황: IRP, DB, DC의 차이

퇴직연금에는 IRP(개인형), DB(확정급여형), DC(확정기여형) 등 세 가지 유형이 있다.

3개월간 이동한 적립금 규모:

  • IRP: 9,229억 원 (38%)
  • DB: 8,718억 원 (36%)
  • DC: 6,111억 원 (25%)

특히 IRP와 DC형에서는 증권사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 이는 IRP와 DC형이 가입자가 직접 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증권사로 계좌를 옮긴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DB형(사용자가 운용하고 근로자는 확정된 퇴직금을 받는 방식)**에서는 보험사와 은행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는 안정적인 퇴직급여를 보장받으려는 경향 때문으로 보인다.


5. 퇴직연금 실물이전의 향후 전망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도입된 이후 자금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같은 흐름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퇴직연금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추가적인 개선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 사전조회 서비스 도입: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상반기 내 도입 예정
  • DC형 → IRP 실물이전 가능: 현재는 퇴직 후 DC형 적립금을 IRP로 옮기려면 기존 상품을 매도해야 하지만, 중도해지 없이 실물이전이 가능하도록 개선할 예정

이러한 변화는 퇴직연금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가입자들에게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무리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퇴직연금 시장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수익률이 낮은 은행에서 증권사로 이동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3개월 만에 2조 4천억 원이 넘는 자금이 움직였다.

퇴직연금 가입자들은 이제 단순히 계좌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수익률을 고려하며 계좌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정부의 추가적인 제도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퇴직연금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퇴직연금을 운용하고 있다면, 수익률을 비교해보고 실물이전 서비스 활용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