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전국에서 문을 닫거나 등록이 취소된 부동산 디벨로퍼(시행사)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년간 사라진 시행사만 330개에 이르며, 규제 강화와 시장 침체로 인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이로 인해 중대형 업체들도 생존을 위한 고군분투를 이어가고 있다.
1분기 폐업·등록 취소 66건…신규 등록은 23건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국 부동산 디벨로퍼 폐업은 43건, 등록 취소는 23건으로 총 66건에 달했다. 반면 신규 등록은 23건에 불과해 폐업과 등록 취소가 신규 등록보다 2.8배 많았다. 이는 2017년 통계 집계 이후 1분기 기준으로 최악의 수치다.
특히 올해 1~3월 신규 등록 수치는 2017년 이후 가장 적은 규모로, 디벨로퍼 업계가 코너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1분기 말 전국 디벨로퍼는 2,691개사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에는 2,357개 업체로 줄었다.
사업 중단 속출…“개점휴업 상태”
업계에 따르면, 중대형 시행사조차 올해 아파트·비주거 등 분양계획이 단 한 곳도 없는 회사가 대부분이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대주단으로부터 중도금 대위변제 요구는 계속 늘어나고, 기존 PF 이자는 그대로 내야 하는 상황”이라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나 다름없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업을 시작하는 순간 빚더미에 앉을 가능성이 높다”며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생존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 자본보강 방안 검토
금융당국은 기업대출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 하향조정 등 자본보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국내 기업들에 가해질 충격을 줄이고자 정부가 방파제 마련에 나선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와 정책금융기관 5곳 실무진이 참여하는 관세 충격 대책반을 구성했다. 향후 정례 회의를 통해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충격과 금융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 금융기관과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조처를 검토할 계획이다.
PF 시장 경색…“본PF 전환 어려워”
부동산 PF 위기설이 확산하면서, 시행사들은 브리지론 단계에서 본PF로의 전환이 어려워지고 있다. 브리지론은 사업 초기에 땅을 사기 위해 받는 단기대출로, 금리가 높고 위험성이 크다. 본PF로 전환하지 못하면, 만기 압박과 금융비용 증가에 시달리게 된다.한겨레
금융회사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시행사와 건설사들이 비싼 값에 땅을 샀다고 보고 있다. 비싸게 매입한 땅, 급등한 건설자재비, 분양 부진 등으로 사업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면서, 금융회사들이 대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결론
부동산 PF 시장의 경색과 시행사들의 줄도산은 단순한 업계의 위기를 넘어,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업계의 구조조정과 자구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댓글